朝鮮後期における階層別の文字解読(文解)の様相の多様化
朝鮮後期における階層別の文字解読(文解)の様相の多様化
朴 鍾培
本発表では、朝鮮後期の階層別における文字解読(文解)の様相について、主に両班、中人、平民、賤民・奴婢、女性の5つの階層に分けて考察した。
朝鮮後期の両班および中人階層の大多数は、ハングルと漢字の二重文解能力を備えていた。彼らは身分的地位の維持や職務遂行上の必要から、一定以上の文字解読能力を備える必要があったが、基礎教育の段階から漢字とハングルが共に使われるバイリンガルテキスト(二重言語テキスト)が一般化していた朝鮮後期の教育環境において、幼い頃から自然にハングルと漢字の二重文解能力を身につけることができた。
一方、両班・中人階層とは異なり、平民や賤民階層は、漢字の文字解読能力を得るために必要な長期的かつ体系的な教育から疎外されることが多かったため、漢字の文解能力を備えた者は少数または極めて少数にとどまり、相対的にハングル中心の文字生活を営んでいた。
また、医女(女医)や妓女のような特殊な身分の女性を除いた朝鮮時代の大多数の女性たちは、階層を問わず男性に比べて文字を学ぶことが難しい状況に置かれていた。ただし、朝鮮後期の女性たちの中でも上層女性たちは、家の中で「肩越しに見て学ぶ(肩外見学)」、すなわち人の学習を横から見て学ぶか、父や兄を通じて文解能力を身につけることができた。
特に『女四書』をはじめとする閨訓書(女性のための教訓書)に接することができた多くの上層女性たちは、漢字とハングルの二重文解能力を身につける場合が多かった。
このような朝鮮後期の階層別の文解の様相に、戸籍研究によって明らかにされている当時の階層別人口構成比率を対応させれば、朝鮮後期のハングルおよび漢字の文解人口の規模や文解率について、おおよその推定が可能になるものと期待される。
조선 후기 계층별 문해(文解) 양상의 다양화
박 종배
이 논문에서는 크게 양반(兩班), 중인(中人), 평민(平民), 천민(賤民)/노비(奴婢), 여성(女性) 다섯 계층으로 나누어 조선 후기 계층별 문해/(文解)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조선 후기의 양반과 중인 계층은 대다수가 한글․한자 이중문해(二重文解)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들은 신분적 지위의 유지를 위해서나 직무 수행상의 필요에 따라 일정 정도 이상의 문해 능력을 갖추어야 했는데, 기초교육 단계에서부터 한자와 한글이 함께 사용된 이중언어 텍스트(bi-lingual texts)가 보편화된 조선 후기의 교육 상황 속에서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한글․한자 이중문해 능력을 갖출 수 있었다. 양반․중인 계층과 달리 평민․천민 계층은 한자 문해 능력 획득에 필요한 장기간의 체계적인 교육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한자 문해/식자 능력을 갖춘 경우는 소수 또는 극소수에 그쳤고 상대적으로 한글 중심으로 문자생활을 영위하였다. 한편 의녀(醫女)나 기녀(妓女)와 같은 특수 신분의 여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조선시대 여성들은 계층을 막론하고 남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자를 익히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다만 조선 후기의 여성들 가운데 상층(上層) 여성들은 집안에서 견외견학(肩外見學), 즉 어깨너머로 보고 배우거나 부형(父兄)을 통해 문해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특히 《여사서(女四書)》를 비롯한 규훈서(閨訓書)를 접할 수 있었던 상당수의 상층 여성들은 한자-한글 이중문해 능력을 갖추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과 같은 조선 후기의 계층별 문해 양상에 호적(戶籍)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는 조선 후기의 계층별 인구(人口) 구성 비율을 대응시키면 조선 후기의 한글 및 한자 문해 인구의 규모와 문해율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iversification of Literacy (文解) Patterns by Social Class in Late Joseon
Park Jong-Bae
This presentation broadly divides late Joseon society into five classes--yangban (兩班), chungin (中人), commoners (平民), cheonmin/slaves (賤民/奴婢), and women (女性)--and examines the literacy (文解) patterns of each class. According to the study, most members of the yangban and chungin classes in late Joseon possessed dual literacy in both Hangul and Classical Chinese. In order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or to perform their official duties, they needed to acquire a certain level of literacy. Given that bilingual texts (Hangul-Chinese), which used both scripts side by side, had become widespread from the elementary education stage onward, members of these classes were naturally able to acquire dual literacy in both Hangul and Classical Chinese from childhood.
In contrast, commoners and cheonmin were often excluded from the long-term, systematic education required to acquire literacy in Classical Chinese. As a result, only a small minority--or in many cases, a mere handful--of people in these classes attained such knowledge, and they primarily conducted their literate activities using Hangul.
Meanwhile, with the exception of women in special social statuses such as female physicians (醫女) or kisaeng (妓女), most women of the Joseon period, regardless of class, were in a relatively disadvantaged position in terms of access to literacy compared to men. However, some upper-class women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able to cultivate literacy by gyeonoe-gyeonhak (肩外見學, "learning by observing over the shoulder") or by studying under the guidance of fathers and elder brothers. In particular, a significant number of upper-class women who had access to instructional texts for women, such as the Yeosaseo (女四書, "Four Books for Women") and other women's conduct manuals (閨訓書), often acquired dual literacy in Hangul and Classical Chinese.
By correlating these patterns of literacy in late Joseon with the population ratios of each class as revealed through household register (hojeok, 戶籍) studies, it is expected that one can roughly estimate the overall size of the literate population and the literacy rates in Hangul and Classical Chines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